1. 목 적
- 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하여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교육인프라 조성 및 지원기반을 마련하고 성폭력·성매매 피해자에 대한 상담전문가를 양성함.
2. 사업기간
- 2021. 6. ~ 2021. 12.
3. 대상 및 인원
- 성폭력 상담원을 희망하는 성인 20명
4. 장 소
- 여성비전센터 4층 누리마루 외
5. 내 용
- 여성인권, 성폭력 관련 법령, 상담이론 및 상담기법 등 교육
- 성폭력상담원 교육(100시간)90% 이상 수료시 인증서를 교부
회차 | 교육시간 | 교육내용 |
1 | 3 | 한국사회의 성문화와 여성폭력 |
2 | 3 | 젠더기반폭력의 사회구조적 맥락과 이해 |
3 | 3 | 여성주의 상담의 이해 |
4 | 3 | 성폭력의 개념과 특징의 이해 |
5 | 3 | 성폭력의 이해와 실태 |
6 | 3 | 가정폭력의 이해와 지원체계(아동폭력, 아내폭력 등) |
7 | 3 | 직장내 성희롱/성적괴롭힘의 이해와지원 |
8 | 3 | 데이트폭력과 스토킹에 대한 이해 |
9 | 3 | 이주여성 성폭력 피해자 지원 |
10 | 3 |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착취 실태와 상담 |
11 | 3 | 장애인의 인권과 폭력 |
12 | 3 | 디지털 성폭력 현황과 지원 |
13 | 3 | 성폭력 관련 법의 이해 |
14 | 3 | 성폭력 피해자 의료지원 |
15 | 3 |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민사소송 실무 엑기스 |
16 | 3 | 성폭력 수사과정의 이해 |
17 | 4 |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의 역할과 이해 |
18 | 4 | 성폭력 2차 피해와 피해자권리 |
19 | 3 | 여성인권운동과 폭력추방운동의 역사 |
20 | 3 | 성인지 관점에 기반한 여성 정책 이해와 성폭력 대응력 향상의 조건(들) |
21 | 3 | 여성주의 자기방어훈련 Ⅰ |
22 | 3 | 여성주의 자기방어 훈련 Ⅱ |
23 | 3 | 성폭력 생존자의 치료회복 프로그램 |
24 | 4 |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 견학 |
25 | 4 | 상담사례연구 및 실습1-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 |
26 | 4 | 자기성장 역할극 집단상담 |
27 | 3 | 상담 원리와 슈퍼비전의 이해 |
28 | 3 | 성적소수자에 대한 이해 |
29 | 4 | 성폭력 피해자 인권지원의 이해 |
30 | 4 | 성폭력피해자 상담의 실제(유형별) |
31 | 4 | 상담자의 자세와 윤리,상담실무 |
32 | 3 | 여성인권영화,종강평가및수료식 |
※ 교육훈련과정의 운영기준(시행규칙 제8조의4 별표 3의2)에 적용하여 교육내용 구성
※ 기관사정에 따라 강의일정은 변경 될 수 있음.
※ 2번이상 강의진행 프로그램은 한번 서류 첨부
구분 | 내용 | 활동횟수 |
동아리 활동 |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자율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상담업무의 전문성 강화하기 위한 정기적인 학습모임 | 월 1회 |
사례회의 | 상담사례를 통한 피해자에 대한 양질의 상담능력 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례회의 진행 | 주 1회 |
상담사례발표 및 슈퍼비전 | 상담원의 수행능력 향상 및 역할, 지식, 기술 위한 슈퍼비전을 진행 하여 여성 주의적 시각 및 성 평등한 관점에서 상담과 지원 | 연 4회 |